본문 바로가기
Infra/S3

[생활코딩] S3 효익과 요금체계

by DOLOVEICECREAM 2021. 9. 24.

 

아래 모든 내용은 유튜버 '생활코딩' 님의 영상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해놓은 것임을 알립니다.

 

생활코딩

일반인에게 프로그래밍을 알려주는 온라인/오프라인 활동 입니다. 채널 공개키 : MIGfMA0GCSqGSIb3DQEBAQUAA4GNADCBiQKBgQDbU/jgeYLWbmUB5pk/wlqMs+2qsOOPgN2ydxOsrWe8JJUXzj5ovsUmjfBSwLjajT6SyO00ulne3zja2PzEZC2wnJCgvZ6lr/ZLvA9yUqmrKRNa

www.youtube.com

 


S3로 얻는 효익


1. S3

 - Amazon 웹쇼핑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제공되도록 데이터를 저장해둔 저장소

 - 대규모 고객을 수용할 수 있을 저장소가 있다면 어떤 이득이 있을까?

 

 

2. CDN (Content Delivery Network)

 - 네트워크 배달

 - 전 세계에 CDN 서버를 분산시켜놨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미리 저장해놨던 콘텐츠를 보여준다,

 EX) 뉴욕에 있는 사람이 한국 서비스에 접속하면, 실제로 서울에 있는 서버가 응답하는 게 아니라 뉴욕에 있는 서버가 응답하게 된다. 

 - 훨씬 빠르게 서비스를 전 세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.

 

 

3. S3 + Cloudfront 

 - S3 + 클라우드 프런트 > 에지 로케이션 > 서비스 (빠르게) 제공

 - DDOS를 막아주는 기능까지 (AWS Shield)

 

 

4. 버킷 관리 

 - 동일 버킷 내에 한 객체의 여러 버전을 보관합니다.

 - 시스템 수정의 이력을 남기는 게 중요하다면? 다른 기능을 사용할 필요 없이 S3 사용하면 됨

 

 

5. Lifecycle

 - 사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요금 체계를 적용시켜준다.

 

 

 

 


1. 저장 공간에 대한 요금 : 저장 공간을 얼마나 차지하였는가?

 - 스토리지 요금

 

2. 사용 요금 : 얼마나 썼냐?

 - 요청 요금

 - S3 스탠더드-IA

 - S3 One Zone-IA

 - Amazon Glacier 요청

 

3. 인터넷 요금 : 얼마나 전송했냐?

 - 데이터 전송요금 > 클래스 타입 상관없이 요금이 같다.

 

 

 

 

벗 BUT,

1번과 2번은 클래스 타입 별로 다르다. 비교해보자.


 

업로드할 때는 공짜다( 웹 브라우저 > S3 ), 그런데 S3에서 다운로드하면 돈이 든다. ( S3 > 인터넷 )

- Storage : 저장공간

- GET : S3 파일 다운로드할 때 

- PUT/POST : 파일 업로드

 

*ratio : standard 기준 비교 값(%)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